스킵네비게이션
본문바로가기
주메뉴바로가기
FOBST
JOIN
LOGIN
SITEMAP
전체메뉴
달력보기
주메뉴
ALL MENU
전체메뉴
Home
FOBST
FOBST
이사장 인사말
소개 & 찾아오시는 길
소개
찾아오시는 길
연혁
정관
CI
구성원소개
회원현황
임원
CTO평의회
직원
조직도
자료실
부산과학문화거점센터
부산과학문화거점센터
추진 개요 및 방향
부산과학문화 네트워크
부산의 과학문화 실태현황
과학문화 공동체 형성 및 활동지원
과학문화 프로그램
교육프로그램
교육프로그램
생활과학교실
생활과학교실
생활과학교실 코딩반
토요생활과학교실
찾아가는 생활과학교실
fun&FUN과학관
체험프로그램
장영실 과학동산
우장춘기념관
기술보증기금
과학잡고 진로잡고
소개
게시판
활동모습
FOLAB
소개
활동 모습
예약
예약확인/취소
대중강연
대중강연
금요일에 과학터치
소개
공지사항
강연일정
지난강연보기
수요일엔 바다톡톡
소개
공지사항
강연일정
지난강의보기
인문학·과학 서로를 탐하다
소개
자료실
과학문화활동
과학문화활동
과학축전
소개
연도별 주제
사진
보도자료
W-science페스티벌
소개
사진
보도자료
과학선현기념사업
장영실
장기려
우장춘
FOBST 총서발간
인재양성
인재양성
사이언스아카데미
소개
갤러리
자료실
Q&A
사이언스 서포터즈
소개
활동사진
활동게시판
부산과학기술상
소개
당해년도 모집공고
명예의 전당
부산미래과학자상
소개
당해년도 모집공고
명예의 전당
청년장기려의학상
소개
당해년도 모집공고
명예의 전당
참여마당
참여마당
공지사항
다박사 과학정보
Q&A
보도자료
FOBST소식지
사진
fun&FUN 과학관
W-science페스티벌
사이언스아카데미
부산과학문화거점센터
FOBST
부산과학문화거점센터
교육프로그램
대중강연
과학문화활동
인재양성
참여마당
회원공간
이용안내
추진 개요 및 방향
추진 개요 및 방향
부산과학문화 네트워크
부산의 과학문화 실태현황
과학문화 공동체 형성 및 활동지원
과학문화 프로그램
글자크기
글자크기 확대
글자크기 축소
글자크기 원래대로
부산과학문화거점센터
▼
추진 개요 및 방향
부산과학문화 네트워크
부산의 과학문화 실태현황
과학문화 공동체 형성 및 활동지원
과학문화 프로그램
추진 개요 및 방향
부산과학문화거점센터
추진 개요 및 방향
목적
제3차 과학기술문화 기본계획(2020~2025)의 비전인 “과학기술과 국민이 소통하며 함께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지역 기반의 과학문화추진 중심체 역할 임무 수행
지역 과학문화 거버넌스 협력망 구축
지역 과학문화 사업 총괄 기획 운영, 과학문화 민관산학연 거버넌스 구축 및 육성지원을 통한 지역 과학문화 활성화
민간영역 및 공공기관 활용하여 지속 가능한 과학문화확산
기업, 출연연, 대학 등 기관 특성에 맞는 과학문화사업 추진을 위한 기반 마련 및 지속 가능한 활동 지원
지역 기반 맞춤형 교육과 지원시스템 개발로 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화 확대 및 다양화
시민과 전문가, 대학과 지역, 클럽과 지자체 연계를 통한 일반시민중심의 과학연구, 과학 활동 지원
기본방향
과학문화 육성 거버넌스 구축 및 컨트롤타워 강화
지역의 과학문화관련 정보수집/관리를 통해 데이터 과학에 기반한 효과적인 정책 발굴을 위한 시스템 구축
지역 내 민관산학연 과학문화 거버넌스 구축 및 활성화로 과학정책 아이디어 수렴 및 협업을 통한 효율적 사업 운영
전문 과학인력 양성 및 민간영역 활성화
기관별 분야별 맞춤형 전문 과학문화해설사 양성 및 민간단체 기관 육성을 통한 과학문화 확산
청소년 및 대학교수, 연구자 대상으로 과학 분야 유공자 포상을 통한 전문과학인력 육성 장려
지역 시민 중심의 과학기술문화 대중화 실현
지역문화와 특색에 맞는 과학문화 사업 발굴/운영으로 지역민의 공감대 형성 및 과학문화 참여 극대화
지역 여건 분석 결과
과학기술문화 플랫폼 부재 및 컨트롤타워 기능 부족
과학기술분야에 특화된 전문가 네트워크 부재로 연구성과와 기업의 수요를 매칭 할 수 있는 매개체(플랫폼) 필요
플랫폼 확장 및 과학문화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컨트롤타워 기능 미흡
과학문화정책 발굴을 위한 기초데이터의 분석과 수집 부족
과학기술문화 전문 인력양성 및 활용 부족
미래 신기술 및 신산업 활성화 과학기술 전문 인재 양성 미흡
과학문화 확산을 위한 전문인력을 발굴·양성하고 있으나, 양적으로 부족하며 해설·교육 분야에 한정
다양한 계층의 지역 시민 대상 사업 부족
시민참여 및 과학문화 대중화를 위해 기존 청소년 참여 위주에서 벗어나 다양한 계층을 위한 콘텐츠 구축 필요
목표 고객 정의
(취약계층) 지역적, 경제적 소외로 과학문화를 쉽게 즐길 수 없는 소외계층 및 실버세대와 성인을 포함
(청소년) 과학문화활동의 중심 초,중,고학생
(민 간) 과학문화활동을 목적으로 하는 민간협회, 과학문화활동을 새로 시작할 수 있는 민간모임
(과학문화전문인력) 과학문화 해설사, 강사, 커뮤니케이터, 촉진자등 과학문화 활동에 있어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활동가
(기관, 기업) 과학 관련기관 및 과학기술로 사회공헌 할 수 있는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