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HOME
글자크기

대중강연
'[수톡]11/20(수)바다를 지킨 부산의 독립운동가' 글 입니다.

[수톡]11/20(수)바다를 지킨 부산의 독립운동가

분류 : 공동체 명 부서명 : 부서 명 작성자 : 수요일엔 바다톡톡 작성일자 : 2019.11.08

조회수 2688

첨부파일 : No File!

○ 강 연 일 : 2019년 11월 20일(수)


○ 강 연 자 : 김 준 혁교사(양정초등학교)


○ 강연내용

. 3·1 독립 만세 운동과 부산

 

191931일 서울에서 민족 대표 33인이 모여 대한의 독립을 선언하는 독립 선언식을 했다. 같은 시각 학생들과 시민들이 탑골 공원에 모여 독립 선언서를 낭독하고, 태극기를 흔들면서 일제에 저항하는 3·1독립 만세 운동이 일어났다. 올해는 3·1독립 만세 운동이 일어난 지 100년째 되는 해이다. 정부를 비롯하여 부산 및 각 지역에서는 3·1독립 만세 운동 100주년을 기념하는 다양한 행사를 벌였다. 부산은 지리적 환경 및 여건에 의해 일본과 오랫동안 교류를 해왔으며 임진왜란 및 일제에 국권이 침탈되는 과정에서도 최전선에 있었고, 일제의 대륙 침략을 위한 교두보였다. 부산은 이미 초량에 설치된 왜관을 통해 일본과 무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조선통신사를 통해 일본 문화와 접촉할 수 있는 유일한 공간이었다. 따라서 부산 사람들은 개항 이전부터 일본 문물을 경험할 수 있었고, 이러한 경험은 제국주의로 무장한 일본의 식민침탈에 어느 지역보다 더 강렬한 저항의식을 가지는 동기가 되었다. 서울에서 3·1독립 만세 운동이 일어나고 열흘의 시차는 있었으나 부산에서도 동구 좌천동에 있던 일신여학교를 중심으로 독립 만세 운동이 일어났다. 독립 만세 운동에 참여한 일신여학교의 여학생들이 일제경찰에 끌려가 고초를 당하자 동래고보(현 동래고등학교)의 남학생들이 이틀 뒤 독립 만세 운동에 참여하게 되면서 독립 만세운동의 규모가 확산되었다. 이는 부산·경남 독립 만세운동의 최초였으며, 부산이 부산·경남 독립 만세운동의 진원지가 되었다.

 

. 초등 사회 교과서의 독립운동가와 부산의 독립운동가

 

현재 초등학생들은 2015개정교육과정의 적용을 받고 있으며 독립운동사에 대한 내용은 5학년 2학기 사회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다. 2015개정교육과정의 사회교과서의 역사과 특징은 인물사 위주로 서술이 되어있는 것이다. 2015개정교육과정의 5학년 2학기 사회교과서에 다루고 있는 대표적인 독립운동가는 안중근, 안창호, 이회영, 유관순, 남자현, 윤봉길, 김좌진, 홍범도, 김구, 신채호 등이 있다. 이들 중 부산에서 태어났거나 부산과 관련된 인물은 전무하다고 볼 수 있다. 초등학생들은 교과서를 통해 역사를 배우기 때문에 부산에서 생활하고 있는 초등학생들은 부산이 독립운동과 큰 연관이 없다고 생각할 소지가 있다. 그러나 부산에서도 독립운동은 활발히 일어났으며 독립운동 과정에서도 역할이 상당했던 것으로 나와 있다. 손꼽히는 부자임에도 전 재산을 처분해 신흥 무관 학교를 세운 이회영 선생처럼 부산에는 안희제 선생이 그러한 역할을 했고, 상해임시정부의 많은 예산을 안희제 선생이 지원했다는 기록도 있다. 독립군의 어머니로 알려진 대표적인 여성 독립운동가인 남자현이 있듯이 부산에는 박차정이 있다. 박차정은 일본이 가장 두려워하고 체포하고 싶어 했던 의열단을 주도한 김원봉의 부인으로 독립운동에 활발히 참여했으며,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 여자부 교관으로 교양교육과 훈련을 담당했고, 이후 조선의용대 부녀복무단장으로 무장투쟁을 전개했던 여성 독립운동가이다. 상하이 홍커우 공원에서 폭탄을 던져 의거를 결행한 한인애국단원 윤봉길 의사처럼 부산에는 독립운동가들을 모질게 고문했던 부산경찰서 서장을 암살하기 위해 고서상인으로 위장해 폭탄을 던졌던 박재혁 의사가 있다. 이처럼 부산에서도 교과서에 실린 독립운동가 못지않게 대한민국의 독립을 위해 목숨을 던졌던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부산에 살고 있는 초등학생들은 3·1독립 만세 운동 100주년이 어떤 의미가 있고, 관련된 부산의 인물로는 어떤 사람들을 떠올릴 수 있는지, 또한 부산은 3·1독립 만세 운동과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에 대해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교육부(2019a). 사회 5-2. 교육부.

교육부(2019b). 사회 5-2 교사용지도서. 교육부.

부산시교육청(2019). 부산의생활. 부산시교육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