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ALL MENU
장영실의 조상이 중국 소주, 항주 출신이었다는 사실은 『조선왕조실록』과 『아산장씨세보』에서 확인되고 있다. 이것에 따르면 장영실의 조상은 원래 중국 조정에서 ‘금자광록대부신위대장군’에 올랐던 송나라 사람으로 이후 고려에 귀화하여 아산군에 봉해졌던 장서(蔣壻)로 장영실은 그의 9세손이 된다고 한다. 장서가 고려 정부에 출사하여 자리를 잡은 이후 후손들은 고려말에 이르기까지 고려 조정에서 대대로 고위직을 지냈다. 장영실의 고조(高祖)인 득분(得芬)은 군기시의 책임자인 판군기시사를 지냈을 뿐만 아니라 서운관의 판사를 지내기도 했다. 군시기란 무기의 제조를 맡았던 부서를 말한다. 서운관이란 천문지리학을 담당하던 부서였다.
장영실의 아버지는 시조 장서의 8세손인 전서(典書)벼슬을 하던 장성휘(蔣成暉)는 자식 둘을 두었는데, 장영실이 유일한 아들이며, 딸 하나를 더 두었다. 장영실의 선조들은 고려말 조정에서 과학기술 분야의 책임자로서 고위직에 오른 훌륭한 가문이었다. 장영실의 신분은 동래현의 관노였다. 그의 과학적 재능으로 태종 때 이미 발탁되어 궁중기술자 업무에 종사하였다. 제련, 축성, 농기구, 무기 등의 수리에 뛰어났으며, 1421년(세종3년) 세종의 명으로 윤사웅, 최천구와 함께 중국으로 유학하여 각종 천문의기를 익히고 돌아왔다. 1423년(세종5) 왕의 특명으로 면천되어 정5품 상의원 별좌가 되면서 관노의 신분을 벗었고 궁중기술자로 역할을 하였다. 그 후 행사직이 되고 1432년 중추원사 이천을 도와 간의대 제작에 하고 각종 천문의기 제작을 감독하였다.
먼저 간의와 혼천의, 규표 등을 완성하고, 1434년 새로운 형태의 물시계인 자격루를 완성하여, 그 공로로 대호군까지 승진하였다. 1437년 해시계인 현주일구, 천평일구, 정남일구, 앙부일구를 제작하였고, 해와 별을 이용하여 시간을 알 수 있는 일성정시의를 만들었다. 1438년 세종을 위해 천체운행과 자동물시계를 결합한 옥루를 만들었다.
1441년 세계 최초로 우량계인 측우기와 수표를 제작하여 하천의 범람을 미리 알 수 있게 했다. 그 공으로 상호군에 특진되었다. 그러나 이듬해 세종이 신병 치료차 이천으로 온천욕을 떠나는 길에 그가 감독 제작한 왕의 수레가 부서져 그 책임으로 곤장 80대를 맞고 파직당하였다.
장영실은 한국의 과학기술 역사에서 위대한 업적을 남겼으며, 그의 천재적인 발명과 제작기술은 15C 한국의 과학기술을 세계적 수준으로 올려 놓았다.